목록분류 전체보기 (91)
우당탕탕

Reflex 프레임워크란? (파이썬 하나로 프론트-백엔드 개발) 이번 글에서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모두 파이썬 한 가지 언어로 개발할 수 있는 Reflex 프레임워크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Reflex의 특징, 기존 프레임워크와의 차이점, 실제 사용법등을 한번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Reflex란?Reflex는 파이썬으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모두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최신 풀스택 웹 프레임워크입니다. React, Next.js 등 자바스크립트 기반 프레임워크의 복잡함을 걷어내고, 파이썬 한 가지 언어로 전체 웹 앱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이 큰 특징입니다.Reflex의 탄생 배경자바스크립트 생테계의 빠른 변화와 복잡함에 대한 피로감과 파이썬의 높은 생산성과 쉬운 문법을 웹 전반에 적용하려는 시도..

Rust란? Rust 언어의 장단점 및 사용법최근 몇 년 사이, Rust는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벗어나 백엔드 개발, 웹 서버, 클라우드 인프라, AI 분야까지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Rust는 대기업과 스타트업 모두에서 점점 더 많이 채택되고 있으며, 기존의 Python, Go, Node.js와 같은 언어를 대체하거나 함께 사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Rust가 백엔드 개발에서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와 실제 적용 전략, 그리고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도입 팁을 정리합니다.Rust가 백엔드에서 주목받는 배경Rust가 백엔드 개발에서 각광받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안정성과 성능입니다. Rust는 컴파일 타임에 메모리 안전성을 보장하는 언어로, 런타임 에러와 ..

FastAPI vs Django 프로젝트에서의 선택 기준 최근 Python 기반 백엔드 프레임워크로 FastAPI와 Django가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둘 다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실제 프로젝트에서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는 개발자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프레임워크의 특징, 장단점, 실제 프로젝트에서 선택 기준등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FastAPI란?FastAPI는 Python 3.6+ 기반의 최신 웹 프레임워크로, 비동기(Async) 지원과 뛰어난 성능, 자동화된 API 문서화 기능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습니다.FastAPI의 핵심 특징비동기 지원(Async/Await): 높은 동시성 처리와 빠른 응답 속도 제공자동 문서화: OpenAPI, Swagger UI를 통한 AP..

QueryDSL vs MyBatis vs JPA 실무에서 언제 쓰는 게 좋을까? 스프링 백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JPA, MyBatis, QueryDSL 중 어떤 기술을 선택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한번 살펴보면서 어떤 상황일 때 어떤 기술이 적합한지 한번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JPA 특징- 객체와 테이블을 매핑하여 SQL 없이 CRUD 작업 가능- 영속성 컨텍스트로 변경 감지 (Dirty Checking), 지연 로딩 (Lazy Loading) 지원 - Spring Data JPA로 기본 CRUD 메서드 자동 생성 ( findAll(), save() 등 )영속성 컨텍스트란? -> https://mozzi-devlog.tistory.com/66장점- 생산성 극대화 : 반복적인..

JPA 영속성 컨텍스트 쉽게 알아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JPA를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영속성 컨텍스트(Persistence Context)가 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영속성 컨텍스트란?영속성 컨텍스트는 말 그대로 "엔티티(객체)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입니다.조금 더 쉽게 말하면,JPA가 엔티티를 직접 데이터베이스(DB)에 바로 저장하지 않고, 중간에 잠깐 보관하고 관리하는 "임시 창고"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왜 이런 창고가 필요할까?JPA는 단순히 DB에 바로 데이터를 넣고 빼는 게 아니라, "엔티티 매니저 (EntityManager)"라는 친구를 통해 이 창고(영속성 컨텍스트)에 먼저 엔티티를 넣고 관리합니다.이렇게 하는 이유는 1. 성능을 높이고 ( 캐시 효과 ..

JPA Auditing을 활용한 생성일, 수정일 자동 관리하기 이번 글에서는 JPA에서 엔티티의 생성일(createdDate)와 수정일(modifiedDate)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방법인 JPA Auditing에 대해 작성해보려 합니다.실무에서 게시글, 회원, 주문 등 거의 모든 엔티티에는 "언제 만들어졌는지", "언제 마지막으로 수정된 것인지"와 같은 정보가 거의 필수적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매번 직접 값을 넣어주는 건 번거롭고, 실수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JPA Auditing과 같은 기능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JPA Auditing이란?JPA Auditing은 엔티티가 저장되거나 수정될 때 특정필드(ex: 생성일, 수정일, 생성자, 수정자 등)의 값을 자동으로 채워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