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00)
우당탕탕

폴더블 아이폰! 수년간 소문만 무성했던 그 제품, 드디어 2026년 하반기 출시가 유력합니다. 애플의 첫 폴더블 아이폰이 어떤 모습으로 등장할지, 루머와 확정 정보를 한 눈에 정리했습니다.출시 시기• 2026년 하반기 출시 전망• 애플, 내년 일반형(아이폰18) 일정 연기 후 폴더블에 집중• 라인업 재편: 기존 모델 + 폴더블 포함 4종 출시 가능성디스플레이• 내부: OLED, 7.7~7.8인치 (아이패드 미니와 비슷한 크기)• 외부: 5.4~5.5인치 (아이폰 미니 크기)• 주름 없는 인폴딩 디자인 채택• 두께: 기존 폴더블폰 대비 더 얇게 설계카메라• 총 4개 카메라• 메인: 4800만 화소 듀얼• 내·외부 모두 고품질 촬영 지원인증 시스템• 터치ID 채택 (페이스ID 미적용)배터리• 5000~550..

빈 라이프사이클과 초기화 실수 feat. Proxy(프록시) 이번에는 프록시와 내부 호출에서 벗어나, 스프링에서 자주 실수하는 빈 라이프사이클 및 초기화와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1. @PostConstruct 초기화 타이밍 실수스프링 빈이 생성되고 DI가 끝난 후 호출되는 @PostConstruct 하지만 이 시점에 DB 커넥션 등 외부 자원이 완전히 준비됐다고 기대하면 안됩니다.예를 들어 DB 트랜잭션이나, 다른 빈에서 초기화를 의존할 때 순서 관련 오류가 자주 발생합니다.@Componentpublic class MyBean { @Autowired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Transactional 분리 시 발생하는 Self Invocation 오류와 그 원인 및 해결Self Invocation과 @Transactional의 관계 Spring에서 트랜잭션을 선언할 때 흔히 사용하는 방식은 바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메서드나 클래스에 붙이는 것이다. 이 어노테이션 덕분에 해당 메소드의 실행 시작과 함께 트랜잭션이 열리고, 작업이 끝나면 커밋 또는 롤백이 자동으로 처리된다. 그런데 개발하다 보면 이런 상황이 자주 생긴다.“한 서비스 내 메소드A에서 메서드 B를 호출하는데, B에만 @Transactional을 붙였더니 트랜잭션이 동작하지 않는 것 같다?” “@Transactional(propagation=REQUIRES_NEW)로 새로운 트랜잭션을 만들었는..

AI를 활용한 일상 스마트 자동화 루틴, AI 활용팁, 라이프해킹 실전 총집합! 안녕하세요! 요즘 살면서 “시간이 왜 이렇게 부족할까” “가족/일/공부/취미 다 챙기려니 너무 힘들다” 저는 이런 고민들이 많이 드는 시기인데요. 최근에 회사분이 일상 자동화를 진행한 경험을 공유해 주시면서 자동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자동화 경험을 같이 공유해 주고 팁도 전달해 주는 내용으로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이 글에선 실제로 검증된 생활 자동화 팁, AI를 활용한이모저모 편의 도구, 그리고 작지만 꾸준히 행복을 키우는 루틴의 실천 비법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1. 내가 자동화로 절약할 수 있는 시간, 얼마나 될까?- 현실적으로 아침 기상부터 잠들기 전까지 세탁, 청소, 할 일 정리, 음식배달, 이메일..

데이터 중심 AI 서버 프로토콜의 대변혁, 왜 Streamable HTTP인가? 2025년, AI·서비스 백엔드 계에서 가장 핫한 변화 가운데 하나는 새로운 스트리밍 서버-클라이언트 프로토콜의 진화다.과거 MCP(Modal Context Protocol)는 JSON-RPC 2.0 기반 메시지 구조, HTTP+SSE(SSE: Server-Sent Events)로 대표되는 통신 메커니즘을 공식 표준으로 삼고 있었다. 이 구조는 엔트로픽(Anthropic)이 2024년 11월 26일 최초로 제안, 오늘날 다양한 AI 시스템들이 클라이언트-서버 상호작용에 필수로 채택한 전송 프로토콜이 됐다. 1. MCP의 JSON-RPC 2.0 포맷• 모든 메시지는 JSON 객체로 구성되고, jsonrpc (버전), me..

깃허브(GitHub) CEO 사임과 마이크로소프트 AI 통합 - 전환점 맞은 개발 생태계 1. 깃허브 CEO의 사임 - 독립의 끝, 변혁의 시작2025년 8월, 토마스 돔케(Thomas Dohmke) 깃허브 CEO가 4년여의 역할을 마치고 회사를 떠나 창업가로 돌아가겠다고 밝히며 회사에 큰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그의 사임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깃허브에 새로운 CEO를 임명하지 않고, 조직을 완전히 자사 CoreAI(코어AI) 팀에 통합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임 배경: 토마스는 “스타트업의 본능이 다시 살아나 회사를 떠나 새로운 창업에 도전하겠다”고 공식 블로그와 사내 메모에서 밝혔습니다.• 전환기 역할: 2025년 말까지는 전환 작업을 도울 예정이며, 깃허브는 더 이상 독립 법인이 아니라 MS 조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