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90)
우당탕탕

The Pragmatic Programmer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 실전 개발자들의 성장 교과서 안녕하세요!오늘은 “내가 이 길을 계속 가도 괜찮을까?” “내가 좋은 개발자가 되려면 뭘 더 배워야 할까?” 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본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개발자 성장서, 바로 『The Pragmatic Programmer(프래그매틱 프로그래머)』에 대한 리뷰/요약을 준비했습니다. 이 책은 프로그램 잘 짜는 법을 넘어서 개발자로 살아가는 태도와 습관을 다루는 “진짜 현실적인 책”입니다.1. 요약1. 작은 개선부터 습관으로, 점진적 성장 • “Broken Window(깨진 창문)” 이론: → 작은 결함을 방치하지 말고 항상 ‘작은 정리’부터 시작하라• 반복되는 업무는 자동화로 바꿔 효율화하라2...

폴드 7 vs 플립 7 실사용 비교 + 전작 대비 변화까지 총정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더욱더 얇아지고 가벼워진 폴드와 플립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제 직장에서도 임직원 특가로 폴드 7을 팔고 있길래 아이폰 유저이지만 넘어갈까 아주 고민이 큰 상태라.. 꼼꼼히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번에 폴드로 갈까, 플립으로 갈까?”• “전작이랑 뭐가 달라진 거야?”• “진짜 가격 값 하는 걸까?”이번 글에서는 두 모델의 실질적인 차이점, 숫자 기반 스펙 비교, 전작 대비 ‘나아진 점’까지 전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1. 한눈에 보는 기본 스펙 비교항목갤럭시 폴드6갤럭시 폴드7갤럭시 플립6갤럭시 플립7출시일..

동시성 제어란? - 데이터가 꼬이지 않는 백엔드의 첫걸음 안녕하세요!오늘은 백엔드 실무에서 꼭 한 번은 마주치는 동시성 제어에 대해서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회사에서 과제형식으로도 많이 나오는 문제이고 현금지급, 쿠폰 이벤트등과 같은 서비스를 만들 때 꼭 적용되어야 하는 부분이라 정독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편에서는 기본적인 내용 설명을 진행하며 2~4편은 해결방법 설명과 예시코드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1. 동시성이란 무엇인가?동시성(concurrency)이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나 시스템 자원(예: DB, 메모리 등)에 접근/변경을 시도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예시: 쇼핑몰 재고 감소• 유저A, B가 동시에 “마지막 1개 남은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고 동시에 주문을 진행 • 둘 다 ..

이펙티브 자바(Effective Java) – 한눈에 보는 완벽 정리 & 읽기 쉬운 요약안녕하세요!이번엔 자바 개발자들이 꼭 읽어야 할 필독서, 조슈아 블로크의 『이펙티브 자바(Effective Java)』의 핵심만 요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장. 시작하며 – 이 책은 왜 읽어야 할까?• 이펙티브 자바 원칙: 코드는 명확하게, 예측 가능하게, 유지보수 편하게• 현장 전설의 팁을 “아이템” 단위로 정리해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음2장. 객체 생성과 소멸• 정적 팩토리 vs 생성자: → new 대신 valueOf , from , getInstance 등 네이밍 팩토리 메서드 적극 활용하면 재사용성과 가독성 UP!• 빌더 패턴: → 생성자 파라미터가 많거나, 옵션 값 관리가 어렵다면 ..

클린 코드(Clean Code) – 로버트 C. 마틴 요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안녕하세요!이번 글에서는 많은 개발자들에게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책, 로버트 C. 마틴(일명 밥 아저씨)의 『클린 코드(Clean Code)』를 읽고 요약해서 작성해보려고 합니다.제가 처음 입사했을 때 읽어보라고 권유받았던 책인데 드디어 다 읽게 되었네요 ㅎㅎ...개발을 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코드가 복잡해지고, 나중에 다시 보면 “이걸 내가 썼다고?” 싶을 때 있죠. 이 책은 그런 혼란을 줄이는 개발 습관, 즉 “읽기 좋은 코드”가 얼마나 중요한지 이야기합니다. 책을 일일이 읽기 어려웠던 분들을 위해 요약한 내용을 작성해 봅니다. 1. 클린 코드란?•..

리팩터링(Refactoring) - 읽기 쉬운 코드의 재설계안녕하세요!오늘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분야의 바이블 중 하나로 꼽히는 『리팩터링(Refactoring)』 - 마틴 파울러 책을 블로그 스타일로 알기 쉽게 요약해보려 합니다."코드를 더 좋게, 더 안전하게 고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생각으로 사놨던 책이었는데 이제 정리하게 되네요 ㅎㅎ1. 리팩터링이란 무엇인가?“기능은 그대로, 코드 구조만 더 깔끔하게!”리팩터링은 프로그램의 겉보기 동작을 바꾸지 않고, 코드의 내부 구조만 개선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직관적이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로 바꾸는 게 핵심입니다.2. 왜 리팩터링이 필요할까?• 시간이 지날수록 코드는 점점 복잡해지고 더러워집니다 ( 스파게티 코드화 )• 시간이 지날수록 버그는 더..